POSTECHIAN 기사 보기
[2021 봄호] 3 - 물리학과가 본 교실
- 작성시각 2021-07-09 07:00:58
2021 SPRING 공대생이 보는 세상 3
물리학과가 본 교실
Dept. of Physics
아~ 졸려.. 누워서 숙제할 수는 없을까...
정답은 모세관 현상이야!
만년필 펜촉을 보면 가운데 얇은 틈이 있어. 그리고 그 틈이 일종의 모세관 되어 잉크 카트리지에 있는 잉크들이 타고 올라오게 되는 거지. 그렇게 올라온 잉크가 종이로 옮겨지는 과정도 중력 때문이 아닌 모세관 힘 때문이야. 종이는 우리 눈에는 매끈해 보이지만 확대해보면 셀룰로스 섬유가 복잡하게 뒤엉킨, 일종의 모세관이라고 볼 수 있어. 그렇기에 펜촉과 종이가 잉크를 두고 벌이는 모세관 힘의 상호작용으로 잉크가 펜촉에서 종이로 이동하게 되지. 중력 때문이 아닌 모세관 작용으로 잉크가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거꾸로 써도 나오지만, 필름으로 코팅되어 표면에 모세관이 없는 경우, 모세관의 상호작용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종이 위에는 글씨가 잘 안 써지는 거지.
모세관 작용을 이용해서 선의 두께를 예측해볼 수도 있어!
$\boldsymbol{wf}$ : 선의 두께
$\boldsymbol{f}$ : 종이의 거친 정도(roughness)
$\boldsymbol{γ}$ : 잉크의 표면장력
$\boldsymbol{h}$ : 종이에 옮겨지는 잉크 필름의 두께
$\boldsymbol{μ}$ : 잉크의 점도
$\boldsymbol{u_0}$ : 펜이 움직이는 속도
$\boldsymbol{R}$ : 펜촉 틈 폭의 절반
종이의 거친 정도 잉크의 표면장력 등 다양한 변인들을 함께 고려해 선의 두께를 구할 수 있다니 정말 신기하지 않니?
이렇게 얘기하다 보니 어느덧 잠이 깼네!
이제 나는 만년필로 다시 숙제하러 가볼게! 안녕~

-
ALIMI 25기 전자전기공학과 서동희
-
다들 포스텍에서 만나요!
기사 모아 보기
POSTECHIAN 기사 보기
[2020 여름호] 알리미가 세종특별자치시에 떴다
- 작성시각 2020-08-26 14:53:12
2020 SUMMER 알리미가 간다
알리미가 세종특별자치시에 떴다
세종시에서 만난 친구들은 진로에 관해 많이 고민하고 있었는데요. 친구들과 함께 어떤 이야기를 나누었는지 궁금하지 않나요?

Q1. 아직은 꿈이나 희망 학과가 없어서 생활기록부를 어떤 방향으로 써야 하는지, 또 다른 친구들에 비해 뒤처지는 건 아닌지 걱정됩니다.

동희 지금 확실한 꿈이 없다고 걱정하지는 않아도 돼. 한 가지 분야가 아니라 여러 가지 분야를 공부하고 활동했다고 나쁘게 평가를 하지는 않아. 지금 꿈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활동들 모두 너의 고등학교 때의 활동이고 그것 자체로 큰의미가 있어. 너무 조급해 하지 말고 해 보고 싶고 좋아하는 것을 하면서 천천히 꿈을 찾아 나가는 것이 더 중요하고 더 좋을 것 같아. 지금 당장 꿈이 없다고 보여주기 식으로 꿈을 결정하기보단 다양한 활동들을 하면서 천천히 너의 꿈을 찾아 나가는 것이 중요해.
Q2. 공부할 때 학원에 왔다 갔다 하는 시간이 너무 아까워서안 가려고 하는데 그러기엔 막상 혼자서 어떻게 공부를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선배들 같은 경우에는 어떻게 공부하셨나요?

Q3. 공부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체력이 중요한 것 같은데, 체력관리는 어떻게 하셨나요?


Q4. 과제를 하기 위해 논문을 몇 편 읽어봤는데, 어떻게 읽어야 할지 잘 모르겠어요.

은진 동희의 말에 조금 덧붙이자면 보통 고등학교 때 논문을 읽는 목적은 연구 자체의 내용보다도 어떤 자료 조사의 근거로 쓰기 위해서 읽는 경우가 많을 거야. 그럴 때 나는 결론 부분을 자주 읽었어. 결론 부분에서는 “어떤 연구를 해서 어떠한 오류가 있었고 그 결과 이런 결과가 도출되었다.”에 대해 말해주기 때문에 그 부분에 대해서 읽는다면 알고자 하는 내용은 충분히다 습득할 수 있을 거야.
Q5. 포스텍과 같은 명문대를 가면 어떤 점들이 좋은가요?

동희 은진이가 현실적인 측면에서 얘기해 줬으니까 나는 조금 원론적으로 얘기해 줄게. “맹모삼천지교”라는 말이 있듯 사람들에게 환경이라는 요소는 정말 많은 영향을 끼치는 요소야. 그리고 흔히 우리가 말하는 명문대학교들은 그런 환경적인 요소에서 큰 장점이 있는 것 같아. 지금 내 주변에 있는 친구들부터 시작해서 선배님들과 나중에 입학할 후배들까지 다들 공부를 열심히 하고 각자의 목표를 가지고 노력하는 이런 우수한 환경에서라면, 내가 발전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해. 세상은 넓고 대단한 사람들은 정말 많은데, 그런 대단한 사람들이 나의 옆에 있다는 것은 내가 성장하는 데 있어 큰 동기부여가 되기도 하고 힘이 되기도 하지. 또 사회로 나가면 스타트업 CEO, 대기업 이사님들 등등 대단한 분들과 동문이라는 이유로 소속감을 가질수 있는 것도 하나의 큰 장점이라고 생각해.

-
ALIMI 25기 전자전기공학과 서동희
-
다들 포스텍에서 만나요!
기사 모아 보기